많은 회사들은 고객정보, 주문정보, 상품정보 등 주요한 데이터들을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저장하고 관리한다. RDBMS는 SQL 형태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RDBMS에는 Oracle, My SQL, SQL 같은 것들이 있다.
데이터웨어 하우스를 구축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Apache hive, Google bigquery, Amazon Athena 등 대부분 SQL 형태에 인터페이스 제공한다.
대부분 회사들은 SQL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한다. 즉 이러한 환경 속에서 SQL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를 원하는대로 가공해서 처리, 이용하기 위해서 SQL을 사용한다.
SQL(Structured Query Langauge)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입력(Create), 조회(Read), 수정(Update), 삭제(Delete) 그리고 저장 하는데 사용되는 질의 언어로써 절차적 언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SQL의 특징
패턴이 정해져 있어 비교적 배우기 쉽다
개별단위로 처리되지 않고 데이터 집합 단위로 처리된다.
표준 SQL문법이 존재하여 어떤 DBMS라도 공통으로 SQL문장을 작성할 수 있다.
<오라클 자료형>
- BINARY_INTEGER : -2147483647에서 2147483647 사이의 정수(4Byte:-2^31-1 ~ 2^31-1)
- NUMBER : 숫자 데이터/최대 38자리의 정수,실수
- NUMBER(n) : 숫자 데이터/최대 n자리까지의 정수
- CHAR(size) : 주어진 size만큼 고정 길이 문자저장. 필드 생성시에는 size 최대값이 2000임. 단위는 byte. 영문 및 숫자는 최대 2000자까지. 한글(유니코드)은 최대 1000자까지 저장
- NCHAR(size) : 주어진 size만큼 고정 길이 문자저장. 필드 생성시에는 size 최대값이 1000임. 유니코드 저장할때 사용단위는 글자. 영문 및 숫자는 최대 1000자까지. 한글(유니코드)은 최대 1000자까지 저장
- VARCHAR2(size) : 가변 길이 문자 데이터. 필드 생성시에는 size 최대값이 4000임. 단위는 byte. 영문 및 숫자는 최대 4000자까지. 한글(유니코드)은 최대 2000자까지 저장
- NVARCHAR2(size) : 가변 길이 문자 데이터. 필드 생성시에는 size 최대값이 2000임. 단위는 글자. 영문 및 숫자는 최대 2000자까지. 한글(유니코드)은 최대 2000자까지 저장
<DBMS(Oracle, MySQL, MS-SQL, DB2, INFORMIX등)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표준 질의어>
DDL문(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가 아니라 DBMS에서 관리하는 객체 예를들면 Table,View 혹은 StoredProcedure등을 생성하고 삭제하고 수정할 때 사용하는 질의어 |
Create(생성,), Alter(수정), Drop(삭제) | |
DML문(Data Manipulation Language) | Table에 저장된 데이터를 운용하는 질의어 |
Select(조회), Insert(삽입), Update(수정), Delete(삭제) | |
DCL문(Data Control Language) |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부여한 권한을 뺐는 질의어 |
Grant(권한 부여), Revoke(권한 뺐기)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SQL -Day. 5 (0) | 2022.03.31 |
---|---|
[SQL]DAY.4 (0) | 2022.03.30 |
[SQL]SQL -Day.3 (0) | 2022.03.29 |
[SQL]SQL -Day.2 (0) | 2022.03.28 |
[SQL]SQL -Day.1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