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What is SERVER?

MoZZANG 2022. 6. 3. 11:00

딱딱하게 전문용어로 말하자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 혹은 프로그램'

 

쉽게 말하자면

'요청을 받으면 데이터를 보내주는 기계' 

 

비유하자면 서버는 음식점 알바생과 똑같은 역할을 한다.

짜장면 2개 주세요~ 하면 짜장면 2개를 가져다주죠?

 

웹서버도 마찬가지로 네이버 웹툰 페이지 주세요~ 하면 네이버 웹툰 페이지를 가져다 준다.

그게 바로 SERVER 즉, 서빙하는 사람(기계)이다.

 

그래서 Back-End 그러니까 서버개발자가 짜는 코드는 아래와 같은 것이다.

 

서버개발자는 쉽게 얘기해서 위와 같은 코드를 짜고 있는 사람들이다.

"누가 A로 요청하면 B라는 파일을 보내준다~"라는 코드를 100개 만들고 있는 사람들이다.

 

 

 

 

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 4가지 방법

웹서버에 유저가 정식으로 할 수 있는 요청은 4 종류가 있다.

  1. 읽기(GET) 요청 (웹페이지를 읽을 때)
  2. 쓰기 혹은 생성(POST)요청(글쓸 때, 로그인할 때)
  3. 수정(PUT) 요청 (글이나 댓글 수정)
  4. 삭제(DELETE) 요청(글이나 댓글 삭제)

 

 

가장 쉬운 GET 요청 방법만 한번 살펴보자

가장 쉬운 GET 요청은 웹페이지를 읽을 때 사용한다.

우리가 갑자기 웹툰이 보고싶으면 네이버 서버에 "네이버 웹툰 페이지를 읽고 싶어요" 라고 요청하면 되겠죠?

 

정확히 말하면 네이버 서버에 GET요청을 하면 되는 것이다.

GET 요청을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는 것이다.

 

 

브라우저의 URL입력란이 바로 GET요청을 하는 곳이다. 여기에 알맞은 URL을 입력하면 네이버 웹툰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URL을 외우는 건 어렵기 때문에 웹개발자들은 버튼을 누르면 URL 이동을 할 수 있게 HTML을 짜놓는 것이다.

 

 

그래서 서버를 어떻게 만드냐

서버만드는 법은 그냥 코들르 이렇게 짜놓으면 끝이다.

"누가 naver.com으로 접속하면 메인페이지 HTML을 보내줘"

 

이게 서버개발자가 짜는 코드의 거의 모든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폼에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법 (POST요청)  (0) 2022.06.09
Basic GET request  (0) 2022.06.03
Node.js와 Express 라이브러리 설치하기  (0) 2022.06.03
Node.js의 Non-blocking이란?  (0) 2022.06.03
What is NodeJS?  (0)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