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Node.js와 Express 라이브러리 설치하기

MoZZANG 2022. 6. 3. 12:40
1. Node.js설치

 

구글에 Nodejs 검색 후 가장 먼저 나오는 사이트에 들어가 설치를 하도록 하자.

 

 

최신버전을 다운받지 말고 왼쪽것을 다운받자.

 

설치 경로 임의로 바꾸시면 npm 어쩌구 이런 명령어가 안먹을 수 있다.

경로는 건들지말고 C드라이브 기본 경로로 놔두자.

 


 

2. VS code 설치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 Visual Studio Code 라고 부르는 에디터인데 역시 구글 검색해서 설치 ㄱㄱ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안보이면 검색메뉴에서 검색ㄱㄱ)

 

 

 


3. 작업폴더를 만들고 에디터로 오픈

에디터로 오픈하려면 에디터 상단 File - Open Folder 를 선택하고 작업 폴더를 오픈하시면 된다.

이렇게 폴더를 항상 연 채로 코드를 짜고 라이브러리 설치하고 해야 한다.

폴더를 잘 열었으면 이렇게 왼쪽 상단에 여러분 폴더 명이 뜬다.

폴더 제대로 안열고 이것저것 코드짜서 에러나고 그러면 돌이킬 수 없으니 주의하자.

 


 

4. 터미널을 열고 npm init을 입력

터미널 켜는 방법은 VS code 에디터 상단 메뉴 보면 Terminal - New Terminal 을 선택하시면 된다.

그럼 에디터 최하단에 편리하게 터미널창이 뜬다.여기다가 npm init을 입력하자.

 

그럼 뭐 이것저것 입력하라고 input이 등장하는데 엔터키를 잘 치자.

중간에 entry point : ? 라고 되어있는 부분은 server.js 라는 파일명을 입력해주고 엔터치시면 된다.

 

 

 

- npm이란?

  • 노드 패키지 매니저라는 건데 라이브러리 설치를 쉽게 도와주는 도구. Node 설치하면 같이 딸려온다.

- 라이브러리란?

  • 코딩생활을 쉽게 만들어주는 일종의 코드 모음집 같은 것이다.

- npm init 이란?

  • package.json 파일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 package.json 이란?

  • 무슨 라이브러리를 썼는지 기록해두면 좋겠죠? 여러분이 설치한 라이브러리 목록을 자동으로 기록해주는 파일이다.

 


 

5. 터미널에 이번엔 npm install express를 입력

 

npm install 어쩌구 하면 어쩌구라는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빠르게 설치해준다.

그래서 npm install 명령을 이용해서 express를 설치하자.

 

- express 란? : 서버를 매우 쉽게 짤 수 있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덕분에 코드 두줄 쓰면 서버 생성 끝이다.

 

 

 

 

<출처 : 코딩애플 : Node.js, MongoDB로 2시간 만에 빠르게 웹서비스 만들기>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폼에 입력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법 (POST요청)  (0) 2022.06.09
Basic GET request  (0) 2022.06.03
Node.js의 Non-blocking이란?  (0) 2022.06.03
What is NodeJS?  (0) 2022.06.03
What is SERVER?  (0) 2022.06.03